반응형

정부가 내년부터 시행될 빈병 보증금 인상과 관련하여 몇자 적을까 합니다.

이전부터 이슈가 되곤 하지만 계속적으로 이슈가 되는 부분이 아닐까 합니다.

중점인 부분은 음식점에서 먹는 소주와 맥주와 관련된 부분으로 음주에 따른

가격변경이 있을까 없을까 하는 부분인데요..

 

 

 

우선 기본적으로 가격상승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실제로 소주 및 맥주 가격이 상승할지 부분은 앞으로 두고봐야 할 부분이 될 것이고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빈병 보증금 인상정책으로 500~1000원 정도 오를 것 같다고

보고 있죠. 통상 1000원 정도 오르지 않을까 예상이 되긴 합니다.

하지만 환경부는 보증금 때문에 실제 가격 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지만

선례를 봤을때는 못미더운 부분이 큽니다.

 

 

 

 

일부 지역에 따라 가격책정이 되어 있기는 하지만

소주 3000원 하던 소주를 4000원 올려 받기 시작을 했죠.

물론 아직까지 소주 3000원 받는 지역도 존재 하죠. 서울지역은 소주 4000원이 다수인듯 하고..

다른 지방에서는 소주 3000원~3500원 하는 것이 많을 것 같네요.

 

그런데 여기서 살펴 볼 것은 단지 원가가 80원이 올랐는데

1000원을 올려받는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있죠.

 

더욱이 이번에 보증금을 올린다면.. 제조업체에서의 가격상승으로 인해 음식점 역시

가격을 올릴 수 밖에 없을 텐데요. 그렇다면 소주 가격이 5000원이 됩니다.

과연 음식점에서 소주 5000원을 주고 사먹게 될 것인가.. 하는 부분이네요.

그렇게 될 경우 일본처럼.. 소주 역시 한잔만 먹고 일어나는 문화가 생겨날지도 모르겠습니다 ㅎㅎ

 

 

 

 

이러한 부분을 볼 때 가격상승 요인이 되긴 하지만.. 실질적으로 음식점에서

5000원의 금액을 받는다면 소비가 덜 일어나지 않을까 하는데..

과연 가격을 올리는 수를 쓰게 될지.. 가격이 오르지 않을 것 같긴 합니다.

소주 가격이 너무 쎄네요.

 

 

 

 집에서나 술잔을 기울이거나 해야 될 것 같아보입니다. ㅎㅎ

서민들이 자주 애용하는 술.. 본인은 술을 좋아하지 않으니 크게 상관은 없다고 보지만

또 사회생활이 또 그렇지 않으니... 담배 인상은 그렇다고 치지만 소주 인상은 좀 아니라고 봐지네요

반응형

+ Recent posts